데이터 분석 기술 블로그

Infinitely Many Solutions (무수히 많은 해) 본문

데이터 사이언스/선형대수학

Infinitely Many Solutions (무수히 많은 해)

데이터분석가 이채은 2025. 5. 7. 13:39

연립 선형 방정식이 무수히 많은 해를 가지는 경우는, 모든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해가 하나가 아니라 무한히 존재할 때입니다.
이는 식들 간에 의존성(종속성)이 있어서 실제로는 독립적인 정보가 부족할 때 발생합니다.


예시

 

두 번째 식은 첫 번째 식을 2배 한 것입니다. 즉, 두 식은 같은 직선을 나타냅니다.
따라서 x + y = 2를 만족하는 모든 점이 해가 되며, 무한히 많은 해를 갖습니다.

 

행렬 표현

위 식을 행렬로 나타내면:

 

가우스 소거법 적용:

R2 = R2 - 2 × R1
[2, 2, 4] − 2 × [1, 1, 2] = [0, 0, 0]

 

결과:

 

즉, 독립적인 식은 1개뿐이고, 나머지는 중복 정보입니다. 해가 하나로 결정되지 않기 때문에, 자유 변수(free variable)를 두고 표현해야 합니다.

 

해를 일반화해서 표현

 

따라서 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:

 

→ 변수 에 어떤 값을 넣든 항상 방정식을 만족하므로, 해는 무한히 많습니다.

 

기하학적 해석

  • 2개의 방정식 → 같은 직선
  • 3개의 방정식 → 같은 평면이거나, 평면들이 한 선을 공유
    → 모든 해는 공통된 선 또는 평면 위에 존재하게 됩니다.

요약